심폐소생술이란?
심폐소생술은 심장마비 등으로 인해 호흡이 멈춘 사람에게 가슴 압박과 인공 호흡을 가해 생명을 구하는 응급 처치 방법입니다. 심장마비 시에는 심장의 호흡 중지, 혈액순환 중지로 인해 뇌와 다른 장기들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신속한 심폐소생술이 필요합니다.
심폐소생술 순서
심폐소생술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1. 환자의 상태 평가
먼저 환자의 의식 상태를 판단합니다. 환자가 동기를 갖지 않고 눈을 떠도 반응이 없다면 심장 마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환자의 호흡 여부도 확인해야 합니다. 호흡이 없다면 CPR을 시행해야 합니다.
2. 비상전화 및 도움 요청
어떤 이유로든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면 119 (한국의 응급전화번호)를 먼저 걸어 응급 상황임을 알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3. 가슴 압박
심폐소생술의 첫 번째 단계는 가슴 압박입니다. 다음의 순서로 진행합니다:
- 환자를 평평한 표면에 뉴트럴 포지션으로 눕힙니다.
- 가슴 압박 지점을 찾아냅니다. 이 지점은 흉곽 중앙 하부에 위치하며, 윗 손바닥을 아래 손바닥 위에 겹치도록 올립니다.
- 윗몸을 압박하여 가슴을 민다. 압박 위치는 몸무게를 사용하여 깊게 압박해야 합니다.
- 압박 시 손의 모양은 통으로 유지하고, 가슴을 원래 위치로 되돌리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 압박과 완전한 탄력을 유지하여 연속적으로 압박합니다. 압박의 빈도는 초당 100-120회를 유지해야 합니다.
4. 인공 호흡
가슴 압박을 한 후 인공 호흡을 시행합니다. 다음의 순서로 진행합니다:
-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 턱을 들어 올립니다. 호흡 돌출을 돕기 위해 입을 약간 열어줍니다.
- 환자의 코를 덮고, 입을 사용하여 소마비를 시행합니다.
- 환자의 가슴이 올라가게 되었을 때까지 소마비를 시행합니다. 이 때 한 호흡 시간은 1-2초여야 합니다.
- 호흡 후에는 환자의 가슴이 내려오도록 허용합니다.
5. 심폐소생술의 과정 유지
심폐소생술은 가능한 다른 의지 및 매개변수에 지장 없이 계속 진행되어야 합니다. 심폐소생술을 할 때는 최대한 수축 단점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심폐소생술 시 주의사항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때는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 환자의 상태를 꾸준히 평가하고 상황에 따라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CPR 도중에는 누구나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조치해야 합니다.
- 의료 인원이 도착했을 때 심폐소생술을 중단하고 의료진의 안내에 따라야 합니다.
심폐소생술 FAQ
1. 언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하나요?
활동이 없고 호흡이 없는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응급 상황에서 신속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2. 심폐소생술을 하는 도중에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나요?
심폐소생술 도중에는 상황을 꾸준히 평가하고 CPR을 계속 진행해야 합니다. 응급 상황이 아닌 상태에서 의료진이 도착하면 CPR을 중단해야 합니다.
3. 심폐소생술은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심폐소생술은 심장 기능을 유지하고 뇌와 다른 장기들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생명을 구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조기에 실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가슴 압박 시 어떤 것에 주의해야 하나요?
가슴 압박 시 손의 모양을 통으로 유지하고 깊게 압박해야 합니다. 가슴을 원래 위치로 돌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5. 심폐소생술도 중요한 응급처치 방법인가요?
심폐소생술은 심장마비로 인한 생명의 위험을 줄이고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응급처치 방법입니다. 모두가 알고 있어야 하는 필수적인 지식입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장애 증상과 원인, 극복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모든것들 (1) | 2024.01.28 |
---|---|
트리싹 효능 : 속울렁거림 설사 구역질증상 위장약 (위장운동 조절) 모든것들 (1) | 2024.01.28 |
PPI 위산분비억제제 제산제 복용법 모든것들 (0) | 2024.01.27 |
눈다래끼 증상 (콩다래끼 등) 및 치료 (다래끼약), 전염 모든것들 (1) | 2024.01.27 |
머리아플때, 긴장성두통 vs 편두통 증상 및 치료 약 모든것들 (1) | 202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