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당뇨병 고위험군, 선별검사 방법과 당뇨병 진단 기준 모든것들

by ys_story 2023. 12. 14.
당뇨병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매우 흔한 만성질환이며, 적절한 관리 없이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뇨병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미미하여 잘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뇨병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은 선별 검사를 통해 조기에 당뇨병을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이 글에서는 당뇨병 고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한 검사 방법과 당뇨병 진단 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당뇨병 고위험군

당뇨병 고위험군은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당뇨병 고위험군에 속합니다.

1.1 비만

비만은 당뇨병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가장 큰 요소 중 하나입니다.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여 당뇨병 발생을 촉진시킵니다.

1.2 가족력

가족 중 당뇨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본인도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집니다. 가족력은 당뇨병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1.3 고혈압

고혈압은 당뇨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고혈압이 있는 사람들은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며, 당뇨병 또한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4 이상지질혈증

이상지질혈증은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질이 너무 많이 쌓이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상지질혈증은 당뇨병의 위험 요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1.5 임신 당뇨병

임신 중에 발생하는 당뇨병인 임신 당뇨병은 당뇨병 고위험군에 속하는 요소입니다. 임신 중에 당뇨병이 발견된 경우, 나중에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2. 선별 검사 방법

당뇨병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은 정기적으로 당뇨병 선별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선별 검사를 통해 조기에 당뇨병을 발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당뇨병 선별 검사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2.1 공복 혈당 측정

공복 혈당 측정은 당뇨병을 진단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검사입니다. 공복 상태에서 혈액 채취 후 혈당 농도를 측정합니다. 만약 공복 혈당이 126mg/dL 이상이면 당뇨병이 의심됩니다.

2.2 당화혈색소 검사

당화혈색소 검사는 공복 혈당 측정 외에도 많이 사용되는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검사는 혈중의 당과 헤모글로빈이 결합한 비율을 측정하여 과거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을 알아내는 데 사용됩니다.

2.3 포도당 내건강시험

포도당 내건강시험은 당뇨병의 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적인 검사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공복 상태에서 포도당 용액을 마신 후 일정 시간마다 혈당을 측정하여 결과를 확인합니다.

2.4 인슐린 저항성 검사

인슐린 저항성은 당뇨병 발생의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인슐린 저항성을 확인하기 위해 경구 당부하 검사나 인슐린 판단 임상 실험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3. 당뇨병 진단 기준

당뇨병 진단은 당뇨병 고위험군에서 적절한 선별 검사를 받은 후에 이루어집니다. 당뇨병 진단 기준은 다양한 조건들을 확인하여 결정됩니다.

3.1 공복 혈당 수치

공복 혈당 수치가 126mg/dL 이상인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합니다. 공복 상태에서 여러 차례 검사한 결과 중 최소한 하나가 126mg/dL 이상인 경우 진단이 성립됩니다.

3.2 경구 포도당 내단 검사

경구 포도당 내단 검사는 공복 혈당 측정 후 2시간 동안 포도당 용액을 마시고 혈당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2시간 경과 후 혈당 수치가 200mg/dL 이상인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될 수 있습니다.

결론

당뇨병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은 선별 검사를 통해 조기에 당뇨병을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공복 혈당 측정, 당화혈색소 검사, 포도당 내건강시험, 인슐린 저항성 검사 등을 통해 당뇨병에 대한 위험 요소를 평가하고 진단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선별 검사를 받아 당뇨병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AQs

1. 당뇨병 고위험군과 당뇨병이 무슨 차이가 있나요?

당뇨병 고위험군은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가리키는 용어이고, 당뇨병은 이미 발병한 질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선별 검사를 받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나요?

선별 검사를 받지 않으면 당뇨병이 조기에 발견되지 못하고,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선별 검사는 얼마나 자주 받아야 하나요?

당뇨병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은 정기적으로 선별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담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4. 당뇨병 고위험군에 속하지 않는 사람도 당뇨병에 걸릴 수 있나요?

네, 당뇨병 고위험군에 속하지 않더라도 기타 요인에 의해 당뇨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5. 당뇨병이 치료되지 않으면 어떤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나요?

당뇨병이 치료되지 않으면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